각종 부동산 지표 '들썩'에 지방·광역시 등으로 번진 전세난

전세난 회피수요로 지방·대도시 중저가 아파트값도 '껑충'

"내년·내후년 더 문제"…전국·수도권·대도시 전세전망지수도 '최고'

세종시 아파트 단지. [출처=연합뉴스]
세종시 아파트 단지. [출처=연합뉴스]

전국의 부동산이 출렁이고 있다. 특히 전세난은 심각을 넘어서 정부 불신과 시장 불신으로 나타나고 있다.

정부는 8,9월 안정설을 주장했다가 슬그머니 내려놓고 내년초로 미뤄뒀지만 수요자들은 아무도 믿지 않는 분위기이며 각자도생으로 전셋집 찾아나서기에 혈안이다.

여기에 전셋값 폭등으로 실수요자 갭투자까지 나타나는 등 이상 열기로 가득한 나라가 되고 있다.

실제로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서울·수도권을 넘어 지방·광역시까지 전세 대란에 전셋값, 집값 폭등으로 날마다 신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부산, 전주, 강원 등 지방의 아파트 전셋값 주간 상승률이 한국감정원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후 8년 반 만에 최고로 올랐고, 서울은 전세 공급 부족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가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KB국민은행 조사에서는 앞으로 전셋값을 전망하는 지수가 수도권·5대 광역시·전국 등에서 2016년 조사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해 '전세 대란'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불기 시작한 지방 도시, 광역시 전셋값 급등

17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주간 단위로 조사하는 아파트 거래 동향 통계에서 전국의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지난주 0.27%201310월 둘째 주(0.29%) 이후 71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이는 감정원이 해당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25월 이후 7년 전 0.29%에 이어 역대 2번째로 높은 상승률이다. 지방의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지난주 0.29%로 역대 최고였다.

바로 한 주 전 (11월 첫째 주) 0.23% 상승으로 최고 기록을 경신한 뒤 최고 기록을 다시 쓴 것으로, 최근 전셋값 상승세가 얼마나 가파른지를 보여준다.

지방 전셋값은 대도시·광역시를 중심으로 크게 뛰고 있다.

부산의 경우 지난주 전셋값 상승률이 0.35%를 기록하며 역시 역대 최고 상승률 기록을 갈아치웠다.

울산은 0.56% 올라 전주(0.60%)보다 상승률이 소폭(0.04%포인트) 내려갔으나 역대 2번째 상승률을 기록했다.

대구에서도 수성구가 0.82% 오르며 조사 이후 세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이런 영향으로 인천을 제외한 5대 광역시의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 역대 최고 상승률인 0.33%를 기록했다.

인천의 경우 지난주 0.61% 올라 20142월 넷째 주(0.63%) 이후 두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인천에서는 연수구가 1.83% 급등하면서 전셋값이 조사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8개도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도 크게 올라 10월 둘째 주(0.25%) 이후 두 번째로 높은 0.22%로 집계됐다.

웬만한 부동산 파동에도 끄덕 없던 강원도가 0.32%로 역대 최고치를 찍었고, 전북 전주도 0.32% 올라 역대 최고 상승률 기록을 다시 썼다.

경남이 0.28% 올라 20134월 첫째 주(0.29%)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가운데 경남에서는 창원이 지난주 0.62% 올라 역대 최고 상승 기록을 갈아치웠다.

전세난이 전국으로 확산하면서 지방 아파트값도 들썩이고 있다. 서울의 한 부동산중개업소에 붙은 매매·전세·월세 관련 정보란. [출처=연합뉴스]
전세난이 전국으로 확산하면서 지방 아파트값도 들썩이고 있다. 서울의 한 부동산중개업소에 붙은 매매·전세·월세 관련 정보란. [출처=연합뉴스]

 

중저가 아파트 매맷값도 끌어올려

절대로 오를 것 같지 않던 중저가 아파트들도 꿈틀거리고 있다.

전월세상한제와 계약갱신청구권을 도입한 새 임대차 법 이후 전셋값이 뛰면서 중저가 아파트 매맷값을 끌어올리는 현상도 전국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감정원 조사에서 지난주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21%로 올해 6월 넷째 주(0.22%)를 제외하면 조사 이후 가장 높았다.

지방의 아파트값은 0.27% 올라 역대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고, 인천을 제외한 5대 광역시도 0.39%로 역대 최고였다.

퍼센트가 열점 단위라 소비자들이 깨닫지 못하는 것이지 실제 금액으로 보면 엄청한 증가액이다. 경기도 김포가 전주 1.94% 올라 역대 최고로 상승한 데 이어 이번 주에도 1.91% 올라 2주 연속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파주의 상승률도 0.47%로 역대 세 번째로 높았다.

부산의 아파트값 상승률도 0.56%, 역대 최고였다.

부산은 수영구(1.13%), 해운대구(1.09%), 연제구(0.88%), 부산진·남구(0.81%), 동래구(0.79%) 등 상당수 지역이 역대 최고 상승률 기록을 경신하는 등 최근 급등세를 보였다.

대구에서는 수성구(1.11%) 아파트값이 지난주에 역대 최고로 올랐고, 울산은 0.35%로 역대 두 번째로 많이 올랐다.

도 단위에서는 경남이 0.26% 올라 역대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경남에서는 창원 아파트값이 지난주 0.80% 올라 역시 역대 최고로 상승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보수적이라고 하는 감정원 조사에서도 전국적으로 중저가 지역 집값이 계속 오르고 있다"면서 "전세의 경우 내년에도 공급 부족이 우려되는 상황인데 뾰족한 단기대책은 없어 보여 정부에도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사실상 정부 대책 없지 않나?

부동산 업계는 사실상 정부가 쳐다만 보고 있지 무대책이라고 비난한다. 쓸 수 있는 모든 대책을 쏟아 부었는데도 시장이 반응하지 않아 정부로서도 속수무책이라는 것이다. 지난 주 홍남기 부총리가 고백한 대로 시장에 쓸 대책이 있었으면 벌써 나왔을 것이라는 반응이 사실인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장관만 아니라고 버티지만 대책은 없는 것이 분명하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최근 전세난은 전세 물량 부족에 새 임대차 법의 부정적인 효과가 겹치면서 나타났다는 것이 중론이다.

·월세 계약갱신청구권을 활용해 기존 주택에 2년 더 싼 값에 눌러앉는 수요가 늘면서 전세 잠김 현상이 심화했고, 집주인들이 4년 치 보증금을 한꺼번에 받으려 하면서 전셋값도 크게 뛰었다는 것이다.

이런 분석을 뒷받침하듯 전세 공급 부족을 보여주는 지표는 역대 최고 수준이다.

감정원의 주간 조사에서 지난주 수도권의 전세수급지수는 123.8, 서울의 전세수급지수는 131.1로 각각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하늘에서 내려다 본 경기 화성시 동탄2신도시. [제공=한국토지주택공사]
하늘에서 내려다 본 경기 화성시 동탄2신도시. [제공=한국토지주택공사]

 

서울·수도권 전세수급 지수 최악 정부가 잠근 것

부동산 컨설턴트들은 이 현상을 정부가 잠근 것이라는 표현을 쓴다.

전세수급지수는 전세 공급 부족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1200 사이 숫자로 표현된다. 수치가 높을수록 전세 공급 부족을, 낮을수록 수요 부족을 뜻한다.

서울의 전세수급지수는 올해 상반기까지 100110 박스권에서 등락을 거듭하다가 새 임대차법 시행 다음 주인 8월 둘째 주에 120.0으로 처음 120선을 넘었다.

이후 120 아래에서 횡보하던 이 지수는 지난달 14주에 121.4, 124.5, 126.1, 124.8120130 사이에서 움직이다가 이달 첫째 주(130.1)로 역대 최고를 기록한 데 이어 지난주 이 기록을 다시 깼다.

이 정도면 시장이 잠긴 것이라는 말이 딱 들어맞는 것이다.

앞서 민간기관인 KB국민은행의 월간 조사에서도 서울의 전세수급지수는 월간 기준으로 10191.1, 192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하며 전세난 우려를 키운 바 있다.

앞으로의 전셋값을 예상하는 전세가격 전망지수 역시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KB국민은행 조사에서 지난달 전국의 전세가격 전망지수는 131.7로 이 지수를 발표하기 시작한 2016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수도권(138.6)을 비롯해 부산(123.2), 대구(144.1), 인천(134.6), 광주(112.2), 울산(138.6) 등이 모두 조사 이후 최고 지수로 나타나 앞으로 전세난 우려가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앞으로도 전세 물량이 충분치 않아 전세난이 계속되면서 전세의 반전세화 현상이 빨라지고 서울 외곽과 수도권, 지방 대도시의 중저가 집값을 밀어 올려 서민 주거 안정이 위협받을 것으로 우려된다. 관련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시행되는 부동산 대책마다 부작용이 큰 바람에 정부도 여러 가지로 부담이 될 것이라는 것이 부동산 업계의 우려이다.

원로급 전문가들은 한시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미 시행에 들어갔지만 전세 수요자에 대한 한시적 조치로 2년간 눌러앉지 않아도 되도록 규제 완화조치를 내리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저작권자 © 굿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