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1인 가구 고용현황 발표

일자리 환경 고독사 등 염려스러운 부분 있어

통계청 1인 가구
통계청 1인 가구

우리나라 1인 가구가 빠르게 늘면서 지난해 600만 가구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난해 1인 가구 고용률이 소폭 하락한 가운데 1인 가구의 40%는 미취업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은 2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9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동향'을 발표했다.

1인 가구 600만 가구 돌파는 2015500만을 돌파하고 4년만에 일어난 일이다.

지난해 10월 기준 1인 가구는 6039000 가구로 전년(5788000 가구)보다 251000 가구(4.3%) 증가했다.

10만대를 이어오던 증가폭이 25만대로 껑충 뛰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청년층이 분가한 뒤 결혼을 늦게 하는 만혼 현상과 고령화 속 사별 등으로 1인 가구 증가폭이 크게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1인 가구가 셋 중의 하나

 

1인 가구가 전체 가구(20183000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9.9%1년 전보다 0.7%포인트 상승했다. 1인 가구 증가율(4.3%)이 전체 가구 증가율(1.9%)을 웃돌았기 때문이다.

201427.4%이던 1인 가구 비율이 5년 만에 2.5%포인트 오른 것이다.

취업자인 1인 가구는 3671000 가구로 전년보다 134000천 가구(3.8%) 늘었다.

전체 1인 가구의 60.8%만 일자리를 갖고 있다. 40%가 미취업 상태인 셈이다. 이는 고용률이 낮은 60세 이상이 많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1인 가구 고용률은 전년보다 0.3%포인트 하락했다. 울산(-4.1%포인트), 세종(-2.3%포인트), 경남(-2.3%포인트), 부산(-1.6%포인트) 등의 지역에서 고용률 하락폭이 컸다.

전국에서 1인 가구 고용률이 가장 높은 곳은 제주도(71.8%)였다.

 

1인 가구 취업자 3명 중 1200만원 미만 저임금

 

취업자인 1인 가구(3671000 가구)를 보면 임금근로자가 2912천 가구(79.3%), 비임금근로자가 759000 가구(20.7%)였다.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 비중은 68.4%로 전년보다 1.1%포인트 증가했다.

임금수준별로 보면 200~300만원 미만이 36.0%로 가장 많았다. 이어 100~200만원 미만(21.3%), 300~400만원 미만(18.8%), 400만원 이상(12.2%), 100만원 미만(11.7%) 등 순이었다.

1인 가구 취업자 3명 중 1명꼴로 200만원 미만의 저임금 취업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100~200만원 비중이 전년보다 3.3%포인트 낮아진 반면, 300~400만원 미만, 400만원 이상 비중은 각각 1.7%포인트, 0.9%포인트 올라갔다.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남성이 42.7시간, 여성이 37.2시간이었다. 남녀 모두 1년 전보다 각각 0.7시간, 0.8시간 줄었다.

성별로 보면 남자가 2081000 가구(56.7%), 여자가 1589000 가구(43.3%)였다.

전년과 비교하면 남자는 4만 가구(2.0%), 여자는 93000 가구(6.2%) 증가했다.

연령별로 보면 50~64세가 1012000 가구(27.6%)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83만 가구·22.6%), 40(715000 가구·19.5%), 15~29(687000 가구·18.7%), 65세 이상(427000 가구·11.6%) 순이었다.

50~64, 65세 이상 취업자는 1년 전보다 각각 1.0%포인트, 0.8%포인트 늘었다. 반면 40, 30, 15~29세는 각각 1.1%포인트, 0.4%포인트, 0.3%포인트 줄었다.

1인 가구 취업자가 가장 많이 종사하는 산업은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39.7%)이었다. 도소매·숙박음식점업(19.7%)이 두 번째로 많았다.

직업별로는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가 22.2%로 가장 많고, 단순노무 종사자(15.7%), 사무 종사자(14.9%)가 뒤를 이었다.

한편 통계 전문가들은 40%의 미취업 1인 가구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한다. 특히 미취업 60대 이상의 미취업자 가구를 면밀히 살펴야 고독사 같은 어려움을 당하지 않는다면서 정부의 촘촘한 복지 관리를 주문했다.

저작권자 © 굿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