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만에 최대폭 감소... 명목 GDP 성장률 1.1%로 '외환위기후 최저'

수출주도형 국가경제였던 우리나라가 최근 들어 수출 부진와 여러 악재가 겹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수출주도형 국가경제였던 우리나라가 최근 들어 수출 부진와 여러 악재가 겹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달러화 기준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32000달러에 이르렀지만 전년 대비 후퇴한 실적인데다 성장폭은 1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쪼그라들었다. 또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0%를 나타냈다. 작년 4분기 성장률은 1.3%로 속보치보다 0.1%포인트 올라갔다.

물가 변동을 그대로 반영한 명목 GDP 성장률은 1.1%로 외환위기 이후 가장 낮았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19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달러화 기준)32047달러로 전년(33434달러)보다 4.1%(1387달러) 줄었다.

이 같은 감소폭은 금융위기 때인 2009(-10.4%) 이후 최대다. 가장 최근 1인당 GNI가 감소한 적은 2015(-1.9%)이었다.

명목 GDP 성장률이 실질 GDP 성장률을 밑돈 가운데 지난해 원화 약세가 달러화 표시 소득을 끌어내린 영향이다. 지난해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는 2018년 대비 5.9% 하락했다.

원화 기준 1인당 GNI는 전년 대비 1.5% 늘어난 37356000원이었다.

한국은 지난 2017(31734달러)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를 연 바 있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1인당 국민총소득 감소와 관련해 "시장에서 결정되고 변동성도 높은 환율을 이용하는 달러화 환산 1인당 GNI의 하락에 대해서는 해석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만약 지난해 원/달러 환율이 2018년과 같았다면, 1인당 GNI는 전년 대비 1.5% 늘어난 33951달러가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비해 4분기 실질 GDP는 전기 대비 1.3% 성장해 속보치 대비 0.1%포인트 상향 조정됐다.

지식재산생산물투자(-0.3%포인트) 등이 하향 조정된 반면 설비투자(1.8%포인트), 건설투자(0.7%포인트), 민간소비(0.2%포인트)가 상향 조정된 영향이다.

분기별 경제성장률 추이
분기별 경제성장률 추이

연간 기준으로 성장 기여도는 민간이 0.5%포인트, 정부가 1.5%포인트를 각각 차지했다. 이 내용은 우려할 만한 것이라는 게 국가 통화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보통 민간이 끌고 나가고 정부가 뒤를 받쳐주는 구조라야 선순환의 국가 이익이 창출되는데 우리나라는 정부가 재정으로 이를 이끌고 민간이 따라가는 식이라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한은 관계자는 "수출 둔화 등 민간 부문의 성장세가 약화한 가운데 정부가 재정을 확장적으로 운영한 데 따른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작년 1인당 국민소득 32천달러로 감소

 

지난해 명목 GDP1914조원으로 전년 대비 1.1% 성장했다. 하지만 명목 성장률은 외환위기 때인 1998(-0.9%) 이후 21년 만에 가장 낮았다. 명목 GDP 성장률 둔화는 반도체 가격 하락으로 교역조건이 악화한 탓이다.

실질 GDP 성장률이 같아도 명목 GDP 성장률이 낮으면 경제주체가 성장을 체감하기 힘들다.

지금 국민이나 민간기업이 성장하고 있다고 느끼지 못하는 이유다.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인 GDP 디플레이터는 전년 대비 0.9% 하락했다. 2006(-0.2%) 이후 13년 만의 감소지만, 하락폭은 1999(-1.2%) 이후 20년 만에 가장 컸다.

GDP 디플레이터는 소비자에게 밀접한 물가만 측정하는 소비자물가지수와는 달리 국내에서 생산한 수출품과 투자재 등을 포함한 국민경제 전반의 종합적인 물가수준을 보여준다.

반도체 등 주요 수출품목의 가격 급락으로 인해 수출 디플레이터가 크게 하락하면서 GDP 디플레이터를 끌어 내린 것으로 분석됐다.

총저축률은 34.6%1년 전보다 1.2%포인트 하락했다. 2012(34.5%) 이후 7년 만에 가장 낮았다. 이 부분도 국내 여윳돈이 저축으로 가지 않고 다른 곳으로 흘러가는 현상을 입증하고 있는 것이다.

재정 재무 분야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재정이 아직은 튼튼하지만 정부 재정으로 성장률을 떠받치는 것은 무리라고 말한다. 민간 기업이 일하고 고용도 창출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제도적 법적으로 지원하고 뒷받침하는 것이 가장 좋은 정책 수준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저작권자 © 굿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