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정부는 건강한 농업을 구현하기 위해 친환경농산물 생산의 안정적 기반 구축(2015년까지 친환경농업지구 1,300개소, 광역친환경농업단지 60개소 조성) 및 친환경농업 실천농가의 경영안정을 위한 친환경농업 직불금을 지급한다. 

또한 친환경농산물 물류비용 절감, 유통망 확충을 위한 종합물류센터를 경기지역에 이어 전남에도 건립한다. 더욱이 소비지 시장에서 소비자들에게 건강한 식탁을 제공하고 친환경농산물 생산농가의 판매기회 확대를 위해 소비지판매장 개설도 지원하고 있다.

농업을 불루오션으로 인식하고 농촌으로 달려간 귀농 창업인은 주로 친환경 농산물을 재배하여 이에 부가가치를 더한 제품을 생산`판매하고 있다. 우리 정부 정책 및 귀농 창업자들에게서 볼 수 있듯이 친환경 농업은 우리농업 및 도시를 건강하게 만들 수 있는 방안인 것이다. 

그러나 친환경 농식품이 소비되어지는 소비지시장은 1970년대부터 급속한 경제 성장과 소득 수준의 향상 및 소비 구조가 다양해지면서 재래시장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 상권과 도시 주택가에 셀 수 없이 많던 구멍가게를 대신하더니 1990년대 및 IMF시기를 지나 2000년대가 도래하면서 이른바 대형마트 빅3로 불리는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가 유통시장의 주역으로 발돋움하였다. 

최근에는 인터넷쇼핑몰과 TV홈쇼핑이라는 통신기반 유통까지 더해져 대형유통업체는 막강한 시장지배력으로 농식품 시장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농업과 도시를 건강하게 만들겠다는 혼이 담긴 친환경 농식품이 대형유통업체에서 판매된다면 그 동안 가장 큰 애로사항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및 대형 유통업체가 친 환경 농산물의 판로확대를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많은 노력을 하는 것은 다행이다.

대형유통업체를 통한 판매확산 전이라도 소규모로 특화된 농산물을 생산하는 친환경 농가에게 간편하고 부담 없이 접근할 수 있는 판매경로를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우선, 친환경 농산물 구매 충성도가 높은 조합원 약 16만 명을 중심으로 수도권의 친환경 농식품을 취급하는 두레 생협과 같이 도시건강을 고민하는 조직과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병행하여 공적기능을 갖고 있는 판매가능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배려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국에 산재해있는 농협 및 지방이전 공공기관과의 연계방안과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온라인 판매망을 활용하기 위해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사이버거래소 이용 편의를 제공하는 것도 필요하다. 

더욱이 생산농가는 도시 소비자에게 주로 택배방식으로 물류를 처리함에 따라 부담하는 비용문제를 우체국과 같은 공공기관의 협력지원을 받을 수 있다면 물류비 절감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현성기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유통교육원 연구위원

 

저작권자 © 굿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