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中企연구개발 정부 지원 전국‘최하위’
道 “수도권이라는 비과학적 이유로 역차별”

지난 2011년 경기도에서 기술개발 연구비 1억원을 지원받은 (주)코멤텍의 김성철(41) 대표는 주로 의류에 활용되는 특수소재‘고어텍스’의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기술에 도전해 국내 최초로 사업화에 성공했다.

미국, 일본 등에 이어 세계에서 네 번째로 이룬 성과다.

코멤텍은 미국 고어(GORE) 사로부터 수입하던 카트리지 필터와 성능은 같지만, 원가는 30% 이상 저렴한 제품을 독일 켐퍼(KEMPER)사에 수출해 지난해에만 24만 달러(2억6000만원)의 외화벌이를 했다.

김 대표는“기술개발이 시급한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도의 지원이 기업의 성장에 큰 도움이 된다”고 했다.

경기도가 이렇게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에 힘을 쏟아 성과를 내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정부의 지원은 전국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도와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이 낸‘중앙정부 R&D(연구개발)의 경기도 유입특성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0년 현재 도내에는 전국 연구기관의 31%(5486곳), 연구원의 33%(11만4858명)가 몰려있다. 지식기반제조업체(1만3313곳)도 전국의 42%나 된다.

도내 공공과 민간이 들인 연구개발비 역시 전국(43조8548억원)의 42%인 18조3129억원에 달한다.

하지만, 정부의 연구개발비 분담률은 10.5%(1조9284억원)로 전국 16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꼴찌였다.

전국 평균 29.7%에 무려 19%p나 못 미치는 것이다.

반면 강원도는 정부 분담률이 110%로 지역 투자를 넘어서 대조를 보였다. 대전도 78.8%나 됐다.

도내 연구원 1인당 정부 투자액도 2000만원으로 전국 최하위였고 도내에 부설 연구소를 둔 중소기업 1곳당 정부 투자액은 9000만원에 그쳐 전국 평균(1억원)도 안됐다.

경기과학기술원 관계자는 “정부가 수도권 집중완화, 지역균형발전 등 비과학 기술적 근거를 들어 비합리적인 차별 현상을 불러오고 있다”며“지역 균형 관점의 배분 논리가 아닌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수월성 중심의 연구개발 투자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민지 기자

저작권자 © 굿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