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추측 뿐, 높은 고령자·의료시스템 미비·통계적 착시 등이 원인?

이탈리아는 코로나19로 인한 높은 치사율의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지도 못하고 있다. 무려 7%의 치사율로 중국의 두배나 된다. 마스크 사기도 어렵다. 한 장에 2만 원을 주고 사야 하고 그것도 긴 줄을 서야 한다.
이탈리아는 코로나19로 인한 높은 치사율의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지도 못하고 있다. 무려 7%의 치사율로 중국의 두배나 된다. 마스크 사기도 어렵다. 한 장에 2만 원을 주고 사야 하고 그것도 긴 줄을 서야 한다.

중국 다음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피해가 큰 이탈리아의 바이러스 확산세가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세계의 의학계는 이탈리아에 왜 이렇게 사망률이 높은 지를 두고 갑론을박 중이다.

14(현지시간) 기준으로 이탈리아의 누적 확진자 수는 21157, 누적 사망자는 1441명이다. 누적 확진·사망자 모두 세계에서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문제는 앞으로 얼마나 늘어날지 예단하기도 어렵다는 것이다. 특히 누적 사망자 수는 바이러스 진원지인 중국(3199)의 절반에 육박할 정도로 상승세가 가파르다.

이탈리아는 지난달 21일 북부 롬바르디아주에서 첫 지역 감염 사례가 확인된 이래 매일 평균 62.6명이 숨지는 높은 치사율을 보이고 있는 셈이다. 최근 들어선 하루 기준 200명 안팎이 숨지는 최악의 상황을 겪고 있다.

누적 확진자 수 대비 누적 사망자 비율을 나타내는 치명률도 7% 안팎을 오르내린다. 한국(0.9%)7, 세계보건기구(WHO) 평균(3.4%)과 중국(3.9%)2배 수준이다.

이탈리아는 서방 선진7개국(G7) 멤버이자 세계 8대 경제 대국이다. 그리고 의료시스템이 양적·질적으로 그리 나쁘지 않다는 평가를 받는 이탈리아에서 왜 이런 일이 발생했을까?

 

세계 두 번째 '노인 대국'"전체 사망자 91%70세 이상"

 

여러 이론 가운데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은 이탈리아의 고령자 인구 비중이다. 작년 기준 이탈리아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중은 23%로 세계에서 일본(28.4%)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실제 이탈리아의 코로나19 감염 사망자는 70대 이상 고령층에 집중됐다. 사망자 연령 분포를 보면 80(8089)45%로 가장 비중이 높고 70(7079)32%로 두 번째다. 90세 이상 사망자도 전체 14% 차지하고 70세 이상 사망자가 전체 91%에 달한다.

그러나 이는 감염자의 연령층이 상대적으로 젊은 한국과 대비된다. 한국의 경우 60세 아래 감염자가 전체 5분의 4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고령층은 암이나 당뇨, 심혈관 질환, 고혈압, 만성 호흡기 질환 등 기저질환(지병)을 보유하는 경우가 많아 바이러스 감염 사망률이 특히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진단이다.

WHO도 최근 분석 보고서에서 지병을 가진 고령자들이 코로나19에 가장 취약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탈리아 북부 지역이 특히 감염 환자들이 대거 발생했다. 사진은 브레시아 병원 모습이다.
이탈리아 북부 지역이 특히 감염 환자들이 대거 발생했다. 사진은 브레시아 병원 모습이다.

이탈리아 파두아대의 조르조 팔루 바이러스학 교수는 언론 인터뷰에서 "이는 생물학적 관점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라며 "우리가 확실히 얘기할 수 있는 것은 이탈리아가 세계에서 가장 '늙은 국가' 가운데 하나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정 지역 중심 확산 의료진의 역량 물량 시스템을 압박

 

이탈리아는 발병 초기부터 북부 롬바르디아주 등을 중심으로 바이러스가 급속히 퍼졌다. 이러한 확산 양태는 지금도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역 감염의 거점인 롬바르디아와 베네토, 에밀리아-로마냐 등 북부 3개 주의 누적 확진자와 누적 사망자가 전체 80% 이상을 차지한다.

자연스럽게 이 지역의 의료시스템은 큰 압박에 처했다. 시간이 갈수록 병실은 물론 의료진과 의료 장비 부족이 심화했다. 바이러스 확진 판정을 받고 자택에서 입원 대기하다 숨지는 사례도 나왔다. 이런 사례는 한국에서도 대구 경북 지역에서 한꺼번에 환자가 몰리면서 나타난 현상이기도 하다.

한편 대도시보다 상대적으로 의료시스템이 빈약한 수천·수만 명의 인구를 가진 중소 도시를 중심으로 바이러스가 전파된 것도 이러한 위기를 증폭시켰다.

북부지역 몇몇 의료기관은 병실 부족으로 복도와 수술실, 회복실 등을 중환자실로 개조해 사용하는 실정이다.

롬바르디아는 중환자를 수용할 공간 부족으로 중환자 일부를 다른 지역으로 이송하기 시작했다.

누적 확진자가 하루 기준 20% 이상씩 증가하는 현 상태가 일주일 이상 지속하면 치명률이 높은 중증 환자 중에서도 상태에 따라 환자를 선별 수용해야 하는 최악의 상황까지 닥칠 수 있다는 비관적 전망도 나온다.

롬바르디아의 아틸리오 폰타나 주지사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현재와 같은 속도로 바이러스가 확산할 경우 지역 의료시스템이 붕괴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바이러스 최초 발병지인 중국 우한의 치명률이 5.8%(2월 기준)로 중국 평균의 22배에 육박했던 것도 같은 맥락에서 설명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그러나 중국의 경우 발표되는 통계 자체를 믿기 어렵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이탈리아 전체 감염 규모는?

 

이탈리아는 위험 지역 사람과 접촉한 경험이 있고 확실한 증세를 보이는 환자를 대상으로 바이러스 검사를 하고 있다. 증상이 없거나 가벼운 감기 증상을 보이는 환자는 배제된다.

이탈리아의 14일 기준 누적 검사자 수는 109170명으로 한국(2650)42% 수준이다. 하루 평균 4700명을 검사하는 수준이다.

물론 이제 막 바이러스가 전파하기 시작한 다른 나라들에 비해선 압도적인 검사 규모지만 이탈리아의 제한된 검사 정책으로 감염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단언하기 쉽지 않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이탈리아가 한국처럼 전방위적인 검사를 할 경우 누적 확진자 수가 크게 불어 치명률이 자연스럽게 WHO가 추산한 세계 평균(3.4%)에 근접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모집단이 커지면 자연히 조사 대상의 비중이 줄기 마련이라는 추측이다.

미국 템플대의 크라이스 존슨 교수는 영국 데일리 메일과의 인터뷰에서 "실제 감염자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는 아무도 모른다"고 말했다.

이탈리아의 치명률을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흡연 인구와 연결 짓는 시각도 있다. 이탈리아의 흡연 인구 비중은 21%로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축에 속한다.

코로나19는 기본적으로 폐렴을 유발하는 호흡기 질병이다. 흡연은 폐 기능을 손상하는 것은 물론 호흡기 질환을 악화하는 요인으로 거론된다. 흡연으로 치명률이 높아질 개연성이 있다는 것이다.

방역 전문가들은 이탈리아가 감염 확산을 막지 못한다면 유럽의 다른 나라도 사태 개선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저작권자 © 굿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