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분석, 도소매·제조업 중심으로 큰 폭 감소

경기도와 수원시가 지난해 주최한 중장년 일자리 박람회에 참석한 구직자들이 일자리 게시판을 보고 있다. [제공=경기도]
경기도와 수원시가 지난해 주최한 중장년 일자리 박람회에 참석한 구직자들이 일자리 게시판을 보고 있다. [제공=경기도]

한국 경제와 가정 경제의 허리 역할을 하는 40(4049) 취업 시장이 도매·소매업, 제조업 등을 중심으로 완전히 얼어붙은 것으로 분석됐다.

16일 통계청이 공개한 경제활동인구 마이크로데이터를 산업별로 분석한 결과, 지난 140대 일자리는 도매 및 소매업, 제조업 순으로 감소폭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40대 취업자는 도매 및 소매업에서 48000, 제조업에서 44000명 각각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1월 전체 취업자는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1년 전보다 568000명이나 증가하며 55개월 만에 가장 많이 증가했다. 하지만, 40대 취업자는 84000명이나 감소하며 전 연령대 중 유일한 마이너스(-)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반해 60대 일자리는 역대 최대 수준으로 늘어났지만 단순노무 종사자나 임시 근로자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연령대별 취업자를 종사상 지위로 비교해 보면 40대 일자리는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40대 자영업자는 1년 전보다 119000명 감소했다.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93000,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26000명 각각 줄었다. 이 통계만을 놓고 보면 유독 40대만 자영업자 중에서 거의 12만 개의 일자리가 없어진 것으로 나타난다.

40대 자영업자 감소폭은 전 연령대 중에서 가장 컸다. 50대는 63000명 감소했을 뿐 나머지 연령대에서는 모두 자영업자가 늘었다. 특히 60대 이상에서는 자영업자가 105000명 늘어났다.

 

자영업 시장 악화 동향

 

통계에 따르면 자영업 업황은 꾸준히 악화하고 있다.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소득부문을 보면 작년 3분기 전국 가구의 사업소득은 879800원으로 4.9% 감소하며 4개 분기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감소폭은 2003년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후 최대다.

그만큼 자영업이 심각한 경기 불황을 겪었다는 반증이다. 가파르게 오른 최저임금 인상과 경기 부진의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제조업은 지난 11년 전보다 8000명 증가하며 20184월부터 이어온 감소 행진을 끝냈다. 하지만 제조업 취업 여건 역시 40대에서만큼은 어려웠다.

제조업 취업자는 60대 이상 37000, 501000명 증가하는 동안 40대에서는 오히려 44000명 감소했다.

정부도 이 같은 허리층 취업 악화를 심각하게 보고 40대 일자리 난을 해소하기 위해 작년 말 '40대 일자리 태스크포스(TF)'를 출범한 바 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에 대해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역량 강화, 창업 지원 등의 대책을 구체화해 3월 말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제공=연합뉴스]
[제공=연합뉴스]

60대 양적 호황...질적으로는 속빈 강정

 

반면에 60세 이상은 40대와 달리 최근 고용 지표가 호조세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 160세 이상 취업자는 1년 전보다 507000명 늘어나면서 19827월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통계청에서 60세 이상 취업자를 마이크로데이터를 이용해 산업별로 분석한 결과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127000·이하 보건복지)과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65000·이하 공공행정)에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다분히 이 두 분야는 재정 일자리 사업 효과에 의한 정부발 일자리 효과라고 보인다. 통상 1월은 재정 일자리 사업 준비 기간이지만, 정부는 올해 준비 기간을 앞당겨 사업을 조기 집행해 1월부터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준비해 만들어 온 재정 일자리 사업은 단순 업무나 안정성이 떨어지는 부문을 중심으로 효과가 나타난 모양새다. 일자리의 양은 채웠으나 질은 여전히 좋지 못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정부가 60세 이상을 대상으로 지난 1월 직업별 증감을 분석한 결과, 보건복지와 공공행정 모두 업무가 간단하고 요구되는 기술 수준이 낮은 '단순노무 종사자'의 증가폭이 가장 컸다.

단순노무 종사자는 보건복지 분야에서 79000, 공공행정 분야에서 57000명 각각 늘어나며 증가를 주도했다.

60세 이상을 종사상 지위별로 분석해 보면 역시 '임시근로자'(계약기간 1개월 이상 1년 미만)의 증가가 전체 취업자 증가를 이끌었다.

임시근로자는 보건복지 분야에서 92000, 공공행정 분야에서 54000명 각각 늘어났다.

정부 관계자는 "60세 이상 증가 507000명 중 약 20만명은 재정 일자리 효과이며 단순노무 종사자나 임시근로자 위주인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나머지 약 30만명 취업자 증가분은 민간중심의 고용 회복세가 반영됐으며, 작년까지 59세 취업자가 1월 들어 60대로 넘어온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민간 고용 전문가들은 정부가 만들어 내는 단순한 일자리로 통계는 올릴 수 있지만 삶의 질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면서 기업을 지원하고 규제를 풀어서 민간 차원에서 40대로부터 60대에 이르는 일자리 기반을 더 크게 개선하지 않으면 민간으로부터 세금 퍼주기만 한다는 지적을 받게 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저작권자 © 굿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