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보고서…대기업 13.7년 근무· 424만원, 中企는 2.3년· 152만원

우리나라 노동시장 구조가 경직되어 대기업 중소기업간 불균등이 심해지고 있다.
우리나라 노동시장 구조가 경직되어 대기업 중소기업간 불균등이 심해지고 있다. 표는 우리나라 노동시장 구조. [출처=한경연]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를 줄이고 한국의 노동시장 유연성과 안정성을 높이려면 노사가 임금체계를 연공서열형에서 직무급 체계로 바꾸고 기업도 고용안정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3일 이상희 한국산업기술대 교수에게 의뢰한 '주요국의 노동시장 유연안정성 국제 비교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덴마크, 네덜란드, 스웨덴 등 3개국 사례와 한국 상황을 비교해 이 같이 주장했다.

한 마디로 현재의 연공서열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나 사회 불균형 현상을 해소하기 어렵다는 결론이다,

연구원은 덴마크 네덜란드 스웨덴 등 3개국을 비교하면서 3개국은 모두 경제 위기와 높은 실업률을 극복하기 위해 노동의 유연성·안정성 정책을 추진했으며 이는 노동 유연화 과정에서 필요한 관대한 실업 보상(종전소득의 약 7090%를 보장하는 실업급여) 체계와 협력적인 노사 파트너십 등이 기반이 됐다고 보았다.

덴마크는 19세기부터 비교적 해고가 유연한 관행이 이어져 왔으며 고용 불안 문제가 제기되자 1970년대부터 평균 순소득 대체율이 7090%에 달하는 높은 실업수당을 장기로 제공했다. 그러다 1990년대 실업률이 치솟자 직업훈련 참여를 조건으로 실업수당을 지급하고 실업수당 지급 기간을 축소하는 등 적극적인 노동시장 정책을 폈다는 것이다.

네덜란드와 스웨덴도 각각 '바세나르 협약'(1982)'-마이드너 모델'(19501980년대) 등 노사정 타협을 통해 경제위기를 극복했으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노동 유연안정성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산기대 이상희 교수는 "한국도 노동시장의 유연안정성 정책 추진이 필요하지만, 고용불안을 해소하기에는 미흡한 사회보장제도와 협력적인 노사 파트너십이 약하다""국내 노동시장과 노사관계에 맞는 정책 수단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보고서를 통해 한국 노동시장이 '대기업·정규직·유노조' 부문과 '중소기업·비정규직·무노조' 부문으로 양분돼 있다고 분석하면서 두 집단 간 노동 안정성과 임금 등 양극화가 심각하다고 진단했다.

이것은 노조 유무가 임금 체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대기업·정규직·유노조 부문의 근속연수는 13.7년으로 다른 부문(2.3)에 비해 6배 가까이 길고, 월평균 임금은 각각 424만원과 152만원으로 2.8배 차이가 나는 등 격차가 큰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이 보고서는 또 임금의 연공성 면에서도 한국의 근속 30년 이상 근로자의 임금이 1년 미만 근로자 임금의 4.39배에 육박해 덴마크(1.44) 등 유럽연합(EU) 주요국과 비교해도 격차가 크다는 문제도 지적했다.

아울러 호봉제 적용 기업이 100인 미만 기업에서는 15.8%에 불과했지만, 300인 이상 대기업의 경우 60.9%에 달한다며 이런 구조가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임금 공정성에 문제를 제기하게 만드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재미있는 것은 이 교수가 "3개국의 유연안정성 정책은 모두 활발한 경제 구조조정이 아니라 노사 관계와 힘의 균형에 의한 노동시장 개혁정책 덕분이라고 보았다는 점이다.

결국 한국의 노조도 비록 조직률은 낮지만 기업 프리미엄이라는 우연이 아닌 직무가치나 생산성이 반영되는 임금체계 개편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고, 사용자 측도 임금조정을 조건으로 일정한 고용안정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이 교수의 결론이다.

 

저작권자 © 굿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