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개혁연대 등 주총 안건 상정 시 고려사항 보고서에서 밝혀져

출처=pixabay

올해 3월은 정기총회의 달이다. 기업이 결산을 하고 이사회를 연 후 주주총회를 여는 달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올해 3월까지 임기가 만료되는 대기업집단 임원 가운데 선임 당시 국민연금이나 자문기관 등이 반대한 임원이 142명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체 임기 만료 임원의 21%를 차지한다.

경제개혁연대는 21일 이 같은 내용 등을 담은 '2020년 정기주주총회 안건 상정 시 고려할 사항' 보고서를 발표했다.

경제개혁연대는 이 보고서에서 20172019년 주총에서 상정한 이사회 임원 선임 안건에 대해 국민연금이 반대 의결권을 행사하거나 의결권행사 자문기관(대신경제연구소·서스틴베스트·좋은기업지배구조연구소)이 반대 의결권 행사를 권고한 임원 현황을 분석했다.

그랬더니 이들 기업에서 올해 임기가 만료되는 임원 총 666명 가운데 142명이나 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분석 대상은 공정거래위가 지난해 지정한 56개 대기업집단(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 및 공시대상 기업집단) 소속 상장 계열사 264개사다.

이 가운데 국민연금 또는 자문기관 반대에도 선임됐다가 임기가 만료되는 임원은 34개 기업집단의 90개 계열사 142명에 달하고 이는 전체의 21%나 된 것이다.

이들 가운데 사내이사는 60,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 80, 감사는 2명이었다.

국민연금 등의 반대를 산 임원이 가장 많은 기업집단은 롯데(16)였다. 이어 SK·한화(9), 삼성·현대백화점(8), 셀트리온·GS·현대자동차·효성(6) 등의 순이었다.

부정적 의견을 받은 142명 가운데서도 특히 복수의 자문기관 등이 선임을 반대한 임원은 52명이었다.

이들에 대한 반대 사유를 유형별로 보면 기업가치(주주가치) 훼손이나 감독의무 소홀 경력, 계열사 재직 경력 및 이해관계 충돌 우려로 인한 반대가 35명으로 가장 많았다.

겸임 과다 및 이로 인한 업무 소홀 우려는 16, 출석률 저조는 1명이었다.

한편 국민연금 및 3개 자문기관이 모두 반대했던 임원은 아모레퍼시픽그룹의 신동엽 사외이사와 한라그룹 지배주주이자 만도·한라의 사내이사인 정몽원 회장이라고 경제개혁연대는 설명했다.

신 사외이사는 사외이사의 독립성 문제가, 정 회장은 내부거래로 인한 기업가치 훼손이 반대 사유였다.

이밖에 효성그룹은 지배주주 일가의 횡령·배임, 현대차그룹은 무리한 한전 부지 인수 결정 등으로 인한 반대가 있었다.

또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주주총회를 앞두고 의결권 행사 활성화를 위한 전자투표제를 정관에 반영하지 않은 회사는 175개사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분석대상의 66.29%에 달했다. 여전히 전자투표제가 외면받는 모습이다,

경제개혁연대는 이에 대해 "올해 주총에서 전자투표제 도입을 위한 정관개정안 안건 상정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지난해 주주총회 개최 집중일에 정기주주총회를 연 대기업집단 상장계열사는 156개사로 분석 대상의 59.09%를 차지했다.

경제개혁연대는 "정부의 주총 자율분산 프로그램에 따라 주총 개최 집중일 개최 시 공시 의무가 부과되고 프로그램을 준수할 경우 인센티브가 제공됨에도 쏠림이 심하다""소수 주주 참석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를 추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자투표제는 기업 합병 등에서 소수 주주들의 의견을 담고자 시행한 것으로 소액주주의 권리 행사를 돕자는 취지로 만들어진 것인데 시행 11년째에도 사실상 제자리 걸음의 모습이다. 실질적인 소수 주주 의견을 반영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까닭이다.

저작권자 © 굿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