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해 고용동향에 대해 "양적 측면에서 V자형 반등에 성공했다"고 평가했다.

또 인구, 산업, 일자리의 구조적 변화와 관련 "고용을 바라보는 시각을 달리하고, 고용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 부총리는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019년 고용동향 및 향후 정책 방향 관련 합동브리핑'에서 "지난해는 일자리 중심 국정운영의 성과가 가시화되며 고용이 양적, 질적으로 뚜렷한 개선흐름을 보인 '일자리 반등의 해'"라고 밝혔다.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2018년보다 30만1000명 증가했다. 9만7000명이었던 지난해보다 3배 이상 늘었다. 

고용률도 15세 이상과 15~64세 이상에서 모두 0.2%p 상승한 60.9%, 66.8%를 기록해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 청년고용률도 43.5%로 2006년 이후 가장 높았고, 여성(51.6%)과 65세 이상 고령층(32.9%) 고용률도 역대 최고치였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5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019년 고용동향 및 향후 정책방향' 관련 관계부처 합동브리핑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제공=기획재정부]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5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019년 고용동향 및 향후 정책방향' 관련 관계부처 합동브리핑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제공=기획재정부]

홍 부총리는 "고용의 질 역시 2018년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성과가 보다 확산되는 모습을 보였으며 임금, 근로시간 등 고용여건 전반의 뚜렷한 개선이 이뤄졌다"며 "이러한 고용지표의 반전은 인구가 증가하며 취업자 증가가 당연시 여겨졌던 과거와 달리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는 어려운 여건 속에 이루어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이러한 고용 개선 흐름에도 불구하고 우리 경제의 허리라 할 수 있는 40대와 주력산업인 제조업에서 고용이 부진한 흐름을 보인 것은 무엇보다 아쉬운 부분"이라며 40대 맞춤형 대책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지난해 40대 고용률은 1년 전보다 0.6% 하락한 78.4%를 기록했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 2018년보다 8만1000명 줄었다.

[제공=기획재정부]
[제공=기획재정부]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2011년 40만명대에 불과했던 만 60세 도달인구가 연간 90만명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이지만, OECD 최고수준인 노인빈곤율 문제도 지적했다.

홍 부총리는 "노동시장에서 밀려났지만 노후가 불안정한 분들에게 과도기적으로 재정일자리를 통해 어려움을 덜어드리겠다"며 "민간의 고령층 고용 확대를 위한 제도적 정비와 여건 조성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40대 맞춤형 종합대책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고용상황에서 벗어난 40대를 위해 새로운 일자리를 찾을 수 있는 지원대책을 검토하고 있다"며 " 고용시장에서 벗어난 40대의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직업훈련 강화, 전직 기회 확대 등을 강구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아울러 "창업에 대한 지원이 20~30대에 중점이 가있지만, 실제로는 40대 창업 성과율이 높다"며 "40대 창업역량을 높이고 지원하는 대책도 함께 강구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올해 일자리 정책 방향에 대해 "민간에서 새로운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투자확대, 혁신성장, 규제개혁 등 3대 축을 중심으로 경제활력을 제고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민간·민자·공공 3대 분야 100조원 투자 발굴·집행 등 투자활성화에 총력을 다 하고, 데이터 3법 국회 통과는 D.N.A. 신산업창출 및 주력 산업을 업그레이드하는 새로운 전환점이 되도록 만들어 나갈 방침이다.

홍 부총리는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을 강화하고 산업 및 경제환경 변화를 고려한 지속 가능한 고용인프라도 구축하겠다"며 "근로자에 대해서는 새로운 직무 역량 강화를 위해 AI 등 신기술 분야 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인력양성 등을 확대하고 국민내일배움카드 시행 등을 통해 전국민의 평생 능력개발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노인·여성·청년 등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은 정부의 당연한 책무"라며 "어르신의 경우 단기적으로 직접 일자리 사업 등을 통해 고용 어려움을 완화해 나가되, 중장기적으로는 민간에서 고령 인력이 활용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확충하겠다. 여성은 출산·육아 지원의 사각지대 해소 등을 통해 경력단절 예방 및 재취업을 지원하고, 청년은 '청년 일자리 3대 핵심 사업'을 중심으로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촘촘한 고용안전망을 마련해 모든 국민이 빠짐없이 보호받을 수 있도록 만들겠다"며 "실업급여 보장성 강화, 국민취업지원제도를 통한 사각지대 해소 등을 통해 노동시장 전반의 고용안전망을 두텁게 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굿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