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입학 정원의 상한기준과 입학자격 조건은 완화되며, 후진학 선도 전문대학 지원은 대폭 늘어난다. 또 2021년 전문대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가칭)마이스터대학'이 2021년부터 운영되고, 2022년에는 직업계고-전문대 조기취업형 인공지능(AI) 계약학과가 신설된다. 

교육부는 올해 2월부터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공동 전담팀을 구성해 전문대학 교육의 질을 제고하고 전문대학이 평생직업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이 같은 내용의 '전문대학 혁신방안'을 마련했다고 22일 밝혔다.

[제공=교육부]
[제공=교육부]

먼저,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학의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산업‧현장중심으로 전문대학의 교육과정과 학사운영 체계를 개선하고, 교원의 현장실무역량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융합 전공제·유연 학기제 운영 확대 △K-MOOC강좌 공동 개발 운영 △전문대학 교원연수과정에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방법 연수강좌 신규 개설 △산업체 경력 보유 현장전문가의 교원 임용 확대 △전문대학혁신지원사업 집행 범위 확대(교원 역량 강화) △직업계고-전문대 AI 계약학과 도입 등을 추진한다. 

특히 산업체가 주도하는 인공지능(AI) 중급기술인력 양성을 위해 2022년에 5개 권역별로 '직업계고-전문대 조기취업형 인공지능(AI) 계약학과'의 도입이 추진된다. 특성화고 학생이 취업이 확정된 상태에서 AI 교육을 받고, 전문대에서 1년 동안 심화 과정을 들은 후 2학년부터는 산업체와 학교를 오가며 현장실무교육과 응용ㆍ심화교육을 받는 방식이다.

전문대학혁신지원사업 집행 범위도 교원 역량 강화까지 확대돼 전문대학들은 전문대학혁신지원사업비로 소속 교원을 다양한 연수프로그램에 참여시킬 수 있다. 

고도로 숙련된 전문기술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새로운 고등직업교육 모델 도입도 검토한다.

이를 위해 전문대에서도 석사학위까지 딸 수 있는 가칭 '마이스터대학'의 도입이 추진된다.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등 직업계고를 졸업한 학생이 대학원에 진학하지 않고도 전문대에서 석사과정까지 이수할 수 있는 모델이다. 

마이스터대학은 특성화 분야, 소재·부품·장비산업과 미래 신산업 분야를 선정해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전문기술인재를 집중 육성한다. 내년 2020년 정책연구를 거쳐 2021년부터 실무형 석사학위과정(마이스터대학)을 운영한다.

[제공=교육부]
[제공=교육부]

교육부는 전공심화과정 입학정원 상한 기준 완화, 전공심화과정 입학자격 조건 개선, 외부 시설 활용 단기 직업교육 허용, 성인학습자 단기 직업교육과정 학점인정 추진 등도 평생직업교육기관 기능 강화 차원에서 추진한다.

일반대에 비해 소홀했던 재정지원을 확대해 전문대의 자율적인 혁신을 지원하고 효율적인 직업교육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해 관계부처와의 협업도 강화할 방침이다. 교육부는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예산을 올해 2908억원에서 내년 3908억원으로 1000억원 증액했다.  

성인학습자의 후학습을 위해 단기 비학위과정도 확대한다. 이를 위해 후진학 선도 전문대학 지원 규모는 2019년 15개교 150억원에서 내년에는 25개교 250억원으로 대폭 늘어난다. 또 '전문기술인재장학금'을 신설해 학기당 1000여명의 우수 학생을 지원할 예정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산업부·고용노동부·중소벤처기업부 등 유관 부처와의 관련 협력을 강화하겠다"면서 "고등직업교육을 전담해 연구할 기관인 '전문대학 직업교육 중점연구소' 지정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굿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