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생활 수급권자, 차상위 계층 등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수원시 공공·민간복지기관의 복지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지난해보다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시가 지난 8~10월 261가구를 대상으로 한 ‘수원시 민관협력 사례관리 만족도 조사’에 따르면 ‘사례 관리 내용 만족도’를 측정한 8개 항목 모두 만족도가 전년보다 높아졌다. 만족도는 5점 척도(5점 매우 그렇다, 1점 전혀 그렇지 않다)로 측정했다.

■ 사례 관리 내용 만족도, 모든 항목 상승

‘사례관리 내용과 서비스 만족도’는 4.46으로 전년(4.14)보다 0.32점, ‘담당자 전문성 만족도’는 4.56으로 전년(4.21)보다 0.35점, ‘적절한 시기에 복지서비스 안내’는 4.43점으로 전년(4.16)보다 0.27점 올랐다.

 

문항별 만족도(괄호 안은 전년도 수치)를 보면 ‘담당자가 사례관리 과정을 자세히 설명했는가?’ 4.46점(4.36), ‘담당자가 본인을 존중하면서 사례관리를 했는가?’ 4.66점(4.31), ‘담당자가 본인의 욕구를 충분히 반영해 서비스를 제공했는가?’ 4.42점(4.03), ‘서비스를 받고 전반적으로 욕구가 해결됐는가?’ 4.33점(3.92), ‘요청한 부분을 담당자가 최대한 신속히 처리하려고 노력했는가?’ 4.52점(4.26점)이었다.

 

이번 조사분석 결과는 수원시가 10일 수원화성박물관 영상교육실에서 개최한 ‘수원시 민·관 협력세미나’에서 발표됐다. 이날 세미나는 주제발표와 지정토론으로 진행됐다.

 

‘수원시 사례관리 실태와 개선 방향’을 주제로 발표한 김제선 백석예술대 교수는 연구결과를 설명하며 “사례관리 서비스 내용에 대한 종합 만족도는 4.51점으로 만족도가 무척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사례관리 담당자 태도에 대한 만족도’(괄호 안은 전년도 수치)도 전년보다 상승했다. ‘친절도’는 4.71점으로 전년(4.54)보다 0.17점 높아졌고, ‘의사소통·대화가 원활했다’ 4.62점(4.41), ‘서비스 제공을 위해 충분한 정보를 준비했다’ 4.44점(4.21), ‘담당자에게 항상 편안한 마음으로 도움을 요청했다’ 4.48점(4.12)이었다.

 

■ 복지 대상자들, '복지 서비스 기간 연장' 원해

응답자들이 원하는 ‘사례관리 서비스 개선사항’(중복 선택)은 ‘사례관리 서비스 기간 연장’이 21.9%로 가장 많았고, ‘서비스 지원 기준 완화’ 18.9%, ‘제공 서비스 다양화’ 14.8%, ‘서비스 양 증가’ 14.8%, ‘서비스 질 향상’ 14.3%였다.

 

김제선 교수는 “대상자들이 수원시 사례관리 서비스를 지속해서 받을 수 있는 여건을 만들고, 서비스 지원 기준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면서 “사례관리 대상들이 경제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지역사회복지 정책이나 프로그램들을 개발하고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2016년 11월부터 수원시 공공·민간 복지기관이 돌보고 있는 수원시 저소득층 가구원 871가구(사례 관리 종결 가구 포함) 중 설문에 응한 261가구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응답자는 남성 46.7%, 여성 56.3%였고, 연령대는 60대 23.4%, 50대 21.8%, 70대 18.4%, 40대 16.1%, 80대 이상 10%, 30대 8.8%였다.

 

가구 유형은 ‘한부모가구’가 24.1%로 가장 많았고, ‘독거노인 가구’ 23.7%, ‘청장년 1인 가구’ 19.3%, ‘부모(성인) 자녀 동반 가구’ 8%, ‘부부 중심 가구’ 5.6%, ‘장애인 가구’ 5.2%였다. 생활보장 형태는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가구’가 40.2%, ‘일반 가구’ 28.5%, ‘차상위 가구’가 23.7%였다.

■ 동 복지 담당자 네트워크 구축해 협력해야

 ‘수원시 동 복지허브화 운영 및 민관협력 추진 방향’을 발표한 박명래 수원시 복지허브화추진단 휴먼복지지원팀장은 “민·관 정보공유시스템을 활용한 사례 관리를 추진하겠다”면서 “민·관이 통합사례회의를 강화하고, 동(洞) 복지 담당자들이 네트워크를 구축해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동 복지기능 강화와 민관협력 활성화 발전 제안’을 주제로 지정 토론한 황재경 우만종합사회복지관장은 “복지 민·관 협력은 지역사회 복지력(복지에 대한 영향력) 향상에 이바지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면서 “민관 협력을 바탕으로 한 조직력이 복지 서비스에 큰 힘이 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굿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