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질량지수,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가 식도편평세포암에 미치는 영향 국내 최초로 밝혀

식도암은 전 세계에서 암 사망률 순위 중 6위를 차지하는 무서운 질병이다. 식도는 음식이 지나다니는 길이라는 특성상 암이 자라나면서 음식을 삼키기 어려운 증상이 동반되는데, 처음에는 고기 같은 고체 형태의 음식을 삼키기 힘겹다가 암이 더 진행되면 물조차 넘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식도의 잘 늘어나는 성질로 인해 암세포의 크기가 작을 경우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불편함을 느껴 병원을 찾은 후에는 이미 암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건강검진 시 내시경 검사를 통해 식도를 관찰할 수는 있지만, 식도암 초기의 점막 변화는 눈에 잘 띄지 않아 이상 징후를 발견하기 쉽지 않다.

이처럼 조기에 발견하기 어렵고 일단 암세포가 발생하면 림프절을 통해 주변 장기 및 기관으로 빠르게 전이되는 탓에, 5년 생존율이 40%도 채 되지 않을 정도로 예후가 나쁘다. 따라서 식도암의 위험인자를 밝혀 암을 조기에 발견할 확률을 높이고,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식도암은 크게 식도선암과 식도편평세포암으로 나뉘는데, 미국과 서유럽 등의 서양 환자 사이에서는 식도선암 발병률이 더 높다. 따라서 서양의 식도암 연구는 선암에 집중되었고, 그 결과 비만이 주요 위험인자임이 밝혀졌다. 반면 한국의 경우에는 식도암의 95% 이상이 편평세포암에 해당하며 서양에 비해 비만율이 낮은데도 불구하고 편평세포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체질량지수 등의 위험인자를 조사한 연구는 매우 드물었다.

이에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최윤진·이동호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주관하는 건강검진 자료를 활용해, 40세 이상 한국인의 전수에 해당하는 8,388,256명의 의료 정보를 평균 8.7년간 추적 관찰하여 체질량지수와 간수치가 식도편평세포암에 미치는 연관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저체중(체질량지수 18.5Kg/m² 미만)인 사람은 정상체중군(18.5~23Kg/m²)에 비해 식도암 발생 확률이 40% 이상 높았으며, 간수치를 나타내는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GGT)가 40IU/L 이상인 경우 16IU/L 이하인 사람에 비해 식도암 발생 확률이 2.22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저체중이면서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가 40IU/L 이상인 경우에는 정상체중이면서 40IU/L 이하인 사람보다 위험도가 3.65배로 크게 높아졌음을 확인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최윤진 교수는 “식도암 조기발견을 위한 지표가 전무한 상황에서, 표본집단이 아닌 약 840만명에 달하는 대규모 인구집단을 기반으로 한국형 식도암의 위험인자를 밝혀냈다”며, “이러한 연구결과가 도출된 만큼 저체중이거나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 수치가 높은 상황에 해당한다면 식도암 예방과 조기발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어 최 교수는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가 식도암 조기발견의 표지자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부각된 만큼, 다른 암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도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저체중에서 정상체중으로 회복하였을 때 식도암의 발생위험을 줄일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논문은 우수성을 인정받아 국제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5월호에 게재됐다. 

*감마글루타민전이효소(GGT)
간 손상의 지표로, 남성은 11~63IU/L, 여성은 8~35IU/L 이내면 정상이라고 본다. 알코올과 관련된 간기능장애가 있으면 수치가 올라가며, 수치가 높으면 알코올성간염이나 지방간 가능성이 있다.

 

저작권자 © 굿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