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심은 천심이다"라는 말이 있다. 지난 15일과 16일, 후보자등록을 마친 제19대 대통령선거의 후보자들이 제각기 민심이 자신에게 있음을 내세우며 표심을 모으는 것도 이 말과 무관하지 않다.

과연 민심은 어디에 있는 걸까? 오는 5월 9일, 투표함 뚜껑이 열리기 전에는 함부로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수많은 예측과 억측이 난무하는 현재의 선거판세가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민심을 파악하기 위해 조선시대에는 대궐 밖 암행을 하거나 신문고등을 설치하기도 하였으며, 민주적인 선거가 도입된 초창기에는 대규모 유세에 동원된 지지자들의 숫자에 촉각을 세우기도 하였다. 오늘날에 와서는 여론조사가 민심을 헤아리는 잣대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럼, 여론조사는 정확한 걸까? 브렉시트 사태와 미 트럼프 대통령 당선 예측 실패, 제20대 총선의 빗나간 결과 예측에서 보듯 여론조사의 허구성 내지 무용론에 대한 얘기가 공공연히 나오고 있다. 이는 여론조사에 대한 맹신과 불신이 공존하는 데서 기인한다.

우리나라의 선거여론조사는 1987년 제13대 대통령선거에서 처음 시도된 이래, 정확한 조사가 이루어지기 대단히 어려운 환경(무응답층과  신뢰할 수 없는 응답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조사방법의 변화와 예측 기술의 발전 등을 통해 신뢰도를 높여왔다. 그에 따라 후보단일화와 당내 경선 등에서 그 활용 빈도는 꾸준히 늘었으며 비중 역시 점점 커져왔다. 반면에 이에 대한 불신 또한 커져가는 상황이다.

이러한 선거여론조사는 객관성과 공정성이 그 생명이다. 지난 2월 개정된 공직선거법에 따라, ‘여론조사기관 등록제’를 시행하고 ‘선거여론조사기준’(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www.nesdc.go.kr)을 마련·공표하여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 또한 이 때문이다.

적은 비용으로 후보자가 유권자에게 손쉽게 접근할 수 있고,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 받은 유권자가 후보자를 올바르게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론조사는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민심은 천심’이지 ‘여론심'이 될 수는 없다. 

객관성을 상실한 조사를 바탕으로 민심을 왜곡한다든지 의뢰자의 요구에 따라 결과를 취사선택하여 발표한다면, ‘천심’이 아닌 ‘여론심’이  민심인양 유권자의 눈을 가려 올바른 선택을 방해하게 될 것이다.

여론조사기관 등록제가 시행되는 이번 대통령선거를 기점으로 여론조사의 객관성과 공정성이 더 이상 의심받지 않고, 민심의 풍향계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부산 동래구선관위 안병국 지도홍보계장

저작권자 © 굿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