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도시재생사업은 사업 유형별 특성에 따라 그에 적합한 체계를 구축해 추진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수원시는 24일 시청에서 ‘수원시 도시재생전략계획 및 활성화 계획 수립 용역’ 중간보고회를 열고 도시재생 전략계획안, 단계별 실행 방안 등을 발표했다.

*지역 특성에 적합한 도시재생추진 체계

전략계획안은 수원시 도시재생추진 체계를 ‘도시경제기반형·근린재생형(중심시가지)’과 ‘근린재생(일반)형’으로 나눠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도시경제기반형은 민관이 함께 경제 거점과 기존 도심을 중심으로 개발하면서, 주변 노후시가지와 상생발전을 꾀하는 것이다. 도심 기능회복과 사업성 확보를 목표로 한다.

근린재생(일반)형은 지역 거버넌스(민관 협치)를 바탕으로 정주(定住) 환경 개선에 집중해 지역 특색을 반영한 도시재생을 추진하는 것이다. 주민들 생활환경 개선과 삶의 질 향상이 주목적이다.

도시재생 추진체계는 수원시 지속가능과와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총괄 코디네이터(조정자, 종합하는 사람)를 중심으로 유기적이고, 융·복합적으로 구축할 것을 제안했다.

수원시의 도시재생 방향은 ‘소통과 공유가 함께 하는 수원 르네상스’다. 시민 의견을 반영해 시민 중심의 도시재생을 실현하고, 시민 모두가 살기 좋고, 일하기 좋은 도시를 조성해 다 함께 성장하는 것을 지향한다.

*수원시 도시쇠퇴율 45%

도시재생은 ‘도시 쇠퇴’가 일어나고 있는 지역에서 이뤄진다. 도시 쇠퇴는 ‘인구’·‘산업’·‘물리 환경’ 쇠퇴 등 3가지 기준으로 진단하는데. 2가지 이상 충족하면 쇠퇴가 진행되고 있다고 본다. 수원시의 도시쇠퇴율은 2015년 12월 현재 45%다. 국가 차원의 규제로 인해 광교산, 수원화성, 수원 군 공항으로 연결되는‘남북쇠퇴축’이 형성됐다.

광교·영통 등 도시 외곽 개발사업으로 원도심 인구감소가 심화하고 있고, 화성행궁 일대는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지정돼 규제의 영향을 받고 있다. 지난 30년간 세류1동은 인구가 60%가량 감소했고, 행궁·고등동은 50~60% 감소했다.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지정된 행궁동은 40년 이상 된 건축물 비율이 13.8%로 ‘물리적 쇠퇴’가 심각한 상태다.

도시재생 중심축에 있는 연무동은 ‘친환경 생태환경도시’, 행궁동은 ‘역사문화도시’, 매산동은 ‘원도심 활성화 거점 도시’, 매탄4동은 ‘공동체 거점 재생도시’, 세류2동은 ‘국제교류 거점 미래도시’로 재생사업을 전개할 것을 제안했다.

행궁동 일원은 세계문화유산 화성과 연계한 활력 넘치는 성곽도시로, 연무동 일원은 환경생태 거점이 돼 자연과 조화로운 환경생태도시를 구현하자는 것이다. 또 매탄4동은 고령화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도시공동체, 세류2동 일원은 국제교류의 중심도시로 구현하자는 계획도 제시했다.

*4단계 평가로 도시재생사업 후보지 선정

도시재생사업 후보지는 선정 방식은 ▲정량적 분석 ▲정책·전략 분석 ▲집계구(300~500명 단위 인구정보) 분석 ▲종합평가 등 4단계 평가를 제안했다. 현재 수원시에 쇠퇴기준 2개 항목 이상 해당하는 행정동은 21개이다. 그중 기존 개발지역, 정비사업 예정지역을 제외하면 14개 행정동이 남는다.

수원시는 올해까지 도시재생 전략·활성화 정책·지침을 수립하고, 2018부터 2022년까지 도심쇠퇴지역을 대상으로 도시재생사업을 전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3~2025년에는 주민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자력적 도시재생’을 추진한다.

수원시는 이날 보고회에서 나온 제안을 보완한 후 3월 2일 오후 3시 수원화성박물관에서 ‘도시재생 활성화계획 수립을 위한 주민 공청회’를 연다. 수원시의회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7월께 최종 도시재생전략 계획, 활성화 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확정된 계획은 경기도 도시재생위원회에 상정돼 승인 절차를 밟게 된다.

2014년 12월 도시재생전략계획 용역을 시작한 수원시는, ‘수원시 도시재생대학’, ‘경기도 도시재생대학’, 시민공청회 등을 열며 도시재생전략계획을 준비해왔다.

도태호 수원시 제2부시장은 “도시재생 전략계획, 활성화 계획을 바탕으로 전략이 쇠퇴한 구도심에 활력을 불어넣은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굿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